갓 나온 뜨끈뜨끈한 종이신문이 곧장 계란판이 된다?

조회수 2018. 10. 26. 14: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흑흑.. 독자들 손에 가지도 못하고.. 종이신문의 슬픈 신세ㅠ

윤전기에서 갓 나온 따끈한 종이신문이
밀봉된 채 어딘가로 향합니다.
새 소식을 전하기 위해 태어났건만…
더 이상 새로울 것 없는 정보가 담겼죠.

출처: gettyimagesbank

종이신문은

효용을 잃어가는 시대에도
날마다 운반되고 소비되는데요.


그런데 이상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주위를 둘러봐도
종이신문 보는 사람은 별로 없는데…


출처: unsplash

아이러니하게도
신문시장을 독과점한
조선·중앙·동아일보 발행부수는
되레 늘어났다는 사실이죠.

출처: 미디어오늘

지난해 11월
한국ABC협회가 발표한 발행부수를 보면
전국 종합 일간지 11개사 총 발행부수는
476만7648부입니다.
이 중에서 조선·중앙·동아일보 발행부수는
343만8636부(72%)를 차지하는데
이 수치는 전년도 발표에 비해
1만4436부 늘어났죠.

그런데 인쇄된 종이신문 모두가
독자를 만나는 건 아닌데요.
폐휴지처럼 재활용 신세가 되는 신문도
꽤 많습니다.

출처: gettyimagesbank

‘종이난좌’라고도 불리는 종이 계란판.
이 종이 계란판을 만드는 주 원료가
바로 ‘그날 나온 신문’이라는데요.

출처: gettyimagesbank

종이 계란판 만들때도 기준이 있는데
독자 손을 탄 신문지는
취급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신(新)문’만! New 신문만!!
종이 계란판으로 재탄생할 수 있습니다.

출처: giphy

신문 입장에서 보자면 …
독자 근처에 가보지도 못하는 운명이네요.

최근 한 누리꾼이 SNS에 올린 사진이
화제가 됐는데요.
이 누리꾼은 처량하게 쌓인 신문 더미와
함께 계란판 공정 사진을 올렸죠.
이 게시물은 페이스북에서
570여회 공유됐습니다.

 이 누리꾼은
“비닐도 벗기지 못하고
 폐지로 들어오는 신문이 있다.
 매일 트럭으로
 수만 부가 들어오는 것 같다”는
 관련업계 관계자의 전언도 소개했는데요.

이 페북 게시글을 보면서 궁금했습니다.
진짜 저 트럭에 실린 신문들이
곧장 계란판이 될까? 이 궁금증이

지금 포스트의 시작이 됐죠.

 궁금증을 이기지 못하고
 열심히 취재해보니 사실이었습니다.
 직접 계란판 생산업계 관계자 말도
 들어봤는데요. 그는
“계란판은 100% 새 신문으로 만든다”
 라고 확인해줬죠.

출처: gettyimagesbank

계란판 공정은 이렇습니다.
먼저 물 먹인 신문을
기계 원심력으로 분해하는데요.
이때 신문을 온전히 물에 불리는 건
시간이 좀 걸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신문이 물에 닿자마자
회전을 시켜 풀어버리죠.

폐신문지의 경우
이물질이 껴있을 수 있어서
계란판 공정 업체들이 갖고 있는 기계로
신문을 분해하기 어렵다고 하는데요.
종이계란판 제품에 영향을 주기에
광고지가 끼어 있어서도 안됩니다.
그래서 종이계란판 공정 업체들은
오롯이 깨끗한 ‘새 신문’을 선호하죠.


하루에 매입하는 신문지는
업체 생산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대략 추산해보면 업계 전체로
120여톤(ton) 규모라고 합니다.
신문 1부 무게를 평균 300g으로 잡으면
1만 부가 3톤 무게인데요. 


하루에 신문 40만부가 계란판 생산에
소비된다는 추산이 가능합니다.


업체들은 ‘중간 수집상’을 통해
새 신문을 매입 하는데요.
중간 수집상은
지국에서 신문을 거둬옵니다.


요즘은 신문을
동남아시아에 수출하는 게 인기라
무역상들도 각 지국을 돌며
신문을 찾는다고 하네요.

폐지 값은 떨어지는데
중간 수집상을 통한 신문 매입비용은
1kg당 220~230원에서
270~280원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중간 수집상들 담합도
가격 인상의 요인인데요.
국내 계란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중국에서 수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종이신문은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거래되고 있습니다.
10~13kg 무게의 신문더미가 팔리고 있죠.

판매업체가 설명한 종이신문 용도는
단열, 포장, 청소, 습기제거, 과수원,
과일보관 등입니다.

출처: unsplash

신문사가 신문 판매 및
배달을 담당하는 신문지국에
무리한 부수를 밀어 넣어 ‘강매’하면
지국에 남는 신문은
이처럼 파지 신세를 면치 못하는데요.

출처: giphy

계란판이든 청소용이든 습기제거용이든
그게 무엇이든간에
그래도 신문은 소비되고 있단 사실에
안도해야 할까요?
저로서는 씁쓸한 취재였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