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한국 떠나는 LG폰, '리즈폰 영광' 다시 한번

조회수 2019. 5. 7. 18:11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출처: LG전자 하이퐁공장 전경.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국내에서 휴대전화를 생산한 지

30년 만에 완전히 철수합니다.



16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이 그 원인입니다.



이 기간 LG전자 MC사업본부가 기록한

적자만 3조원에 달합니다.



LG전자 평택사업장에 근무하던 1400명은

창원공장을 비롯해 전국으로 뿔뿔이 흩어졌고



생산설비 등은

올해까지 베트남 하이퐁 캠퍼스로 이전합니다.



15년 전 LG전자의 휴대전화 생산 거점으로 등장했던

평택사업장의 꿈은 그렇게 사라졌습니다.

◆내놓으면 히트… LG폰 전성기

LG전자는 1989년

‘GHP-9C’라는 이름의 휴대전화를 선보이면서

모바일사업을 본격 시작했습니다.



당시 배터리는 400mAh(밀리암페어시) 수준으로

현재의 10분의1에 불과했으며

완전방전에서 완전충전까지 12시간이 걸렸습니다.



이어 1992년

일회용 알카라인 건전지와 충전용 배터리를 겸용하는

‘GSP-100’을 출시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후 1990년대는 LG전자 휴대전화의 격동기였습니다.



LG전자는 금성반도체, 금성통신, LG정보통신, LG전자 등

사명을 계속 변경했고 수많은 시도를 거쳤습니다.



1989년부터 1994년까지 총 10종의 휴대전화를 출시한

LG전자는 3개 모델을 자체 설계·제작하면서

생산 노하우를 쌓았습니다.



이 과정 속에 1996년 등장한 ‘LDP-200’

세계 최초의 CDMA 이동전화에 이름을 올렸고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던

모토로라의 영역에 발을 담그기 시작했습니다.



이듬해인 1997년은 

문자서비스 기능을 포함한 PCS서비스가 본격 시작되면서

국내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빚어졌습니다.



2.5세대 이동통신기술의 등장과 함께

통신사업자는 기존 SK텔레콤, 신세기통신에

한국통신프리텔, 한솔PCS, LG텔레콤이 더해져

총 5개사가 이동통신시장을 두고 경쟁했습니다.



이동사 간 각축전이 벌어지며 시장은 규모가 커졌고

이를 기반으로 LG전자의 휴대전화사업도 성장했습니다.

 

출처: (왼쪽부터)샤인폰, 초콜릿폰, 프라다폰, LG V50 ThinQ.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의 휴대전화사업이 본격 성장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입니다.



2000년대 휴대전화 트렌드는

단순 통신기기에서 정보·엔터테인먼트의 도구

진화하기 시작했습니다.



LG전자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충실하게 응답했습니다.



2003년과 2004년 출시된

휴대전화 ‘LG-SV130’과 ‘LG-KP3000’

각각 카메라와 음악재생기능에 중점을 뒀습니다.



이 중 MP3기능을 지원한 KP3000모델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가 있었습니다.



저장공간은 70메가바이트(MB)로

약 17곡의 MP3파일을 담을 수 있어

획기적인 수준이었습니다.



이 밖에 ▲130만화소의 CCD 카메라

▲2.2인치 TFT 듀얼디스플레이

 ▲64화음 스테레오 벨소리 ▲3D아바타 기능은

젊은층을 공략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여기서 얻은 자신감으로

LG전자는 2005년 11월22일 역대급 히트를 기록합니다.



바로 ‘LG-LP5900’.

‘초콜릿폰’의 등장입니다.



초콜릿폰은

LG전자의 블랙라벨시리즈 첫번째 휴대폰으로

검은 외관과 빨간 버튼으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두께 14.9㎜, 2인치 QVGA 디스플레이의 디자인은

“다시 나오기 힘들 정도로 아름답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제품에 대해 각종 불만이 제기됐으나

하루 실개통수 1000대를 넘기는 등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LG전자의 돌풍은 2006년에도 이어졌습니다.



‘LG-LV4200’ 샤인폰

플라스틱 단말기 일색이던 시장에서

스테인리스 소재로 확고한 위치를 점했습니다.



전면 미러 LCD와 스크롤키의 조합은

디자인과 편의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출시 보름 만에 하루 실개통수 1500대를 돌파하면서

초콜릿폰의 계보를 이었습니다.

 


터치스크린이 각광받기 시작한 2007년에는

명품 브랜드 프라다와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프라다폰’을 출시했습니다.



프라다폰은 초콜릿폰과 샤인폰의 인기를 뛰어넘어

LG전자의 첫 밀리언셀러에 이름을 올렸는데

프라다폰 디자인은 10년이 지난 현재까지 회자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될듯 하다 안되는 LG스마트폰

LG전자의 스마트폰이 짧은 전성기를 누리던 2007년

스티브 잡스가 청바지 주머니에서 아이폰을 꺼내면서

피처폰의 종말을 고했습니다.



당시 LG전자는 스마트폰 개발에 회의적인 반응이었는데

결정적으로 이것이 패착이 됐습니다.

 


뒤늦은 판단의 대가는 참담했습니다. 

안드로이드를 개발한 구글과 손잡고 출시한

‘안드로원’도 시장에서 소리소문 없이 사라졌습니다.



2011~2012년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을 팬택에 내주며

굴욕을 겪은 LG전자는



2012년 하반기 ‘옵티머스G’를 출시하면서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때 LG전자는

스마트폰사업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부었는데

이 투자의 결실은 2014년 ‘G3’에서 맺어졌습니다.



G3는 누적판매량 1000만대를 돌파하면서

후발주자의 설움을 단숨에 극복했습니다.



MC사업본부는 G3가 출시된 2014년

3161억원의 흑자를 기록하면서

휴대전화 명가의 자존심을 되찾았습니다.



G3는 ▲G3 Cat.6 ▲G3 A ▲G3 비트 ▲G3 스타일러스

▲G 비스타 ▲GX2 ▲G3 Screen 등

수많은 변형기종으로 꾸준한 판매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영광은 그리 길지 않았습니다.

G4부터 LG전자의 수난은 다시 시작됐습니다.



천연가죽 디자인의 G4와

미디어 기능에 집중한V10은

메인보드 결함으로

스스로 전원이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했습니다.




LG전자는 뒤늦게 잘못을 시인하고

무상수리에 나섰지만

이미 소비자는 돌아선 뒤였습니다.



이후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하 단통법)의 여파와

과도한 혁신으로

▲G5 ▲G6 ▲G7 ▲G8 ▲V20 ▲V30 ▲V40 등

플래그십 단말기사업이 붕괴됐습니다.


 

LG전자 MC사업본부는 시장의 신뢰를 잃었음에도 소비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보다 시대를 앞서간 혁신으로 자멸을 초래했습니다. 

LG전자에게 5G는 재도약의 기회입니다.



업계는 LG전자가 생산거점 이동으로

수익성 개선 재정비 작업에 돌입했다며

5G에서 반전을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애플, 화웨이, 샤오미 등 강력한 시장경쟁자들을 물리칠 수 있을 만한 한방이 있어야 합니다. 가성비로는 중국기업에, 성능과 브랜드 이미지로는 삼성전자와 애플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LG전자의 가장 큰 고민일 것입니다. -업계 관계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