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건물이 청년주택이었어?" 도심권 초역세권에 60~80% 임대료

조회수 2019. 6. 7. 11:31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2030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서울시는 서울 주요 전철역과 인접한 역세권 지역에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인 ‘2030 역세권 청년주택’을 짓고 있습니다. 해당 주택은 만 19~39세 대학생, 취업준비생, 사회초년생을 비롯해 신혼부부 등이 입주를 신청할 수 있는데요. 입주 기준은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로 행복주택과 유사하고, 최장 6년간 거주가 가능합니다(2년마다 갱신).

역세권 청년주택 해당지역은?

오는 2022년까지 2030역세권 청년주택 8만가구를 공급한다는 것이 서울시의 계획입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광진구 구의동 강변역(74가구), 서대문구 충정로역(499가구), 마포구 합정역(913가구), 성동구 장한평역(170가구), 강서구 화곡역 화곡동(57가구) 등지에 총 1,713가구를 모집할 예정입니다.


강남에서도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진입해 서초역 역세권 청년주택(280가구)가 서초구에서 첫 번째로 건축허가를 받았고, 양재역 역세권 청년주택(440가구)도 올해 하반기 착공예정으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민간이냐 공공이냐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료에도 차이 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역세권에 주거 면적의 100%를 공공임대나 민간임대로 지어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데요.


젊은층이 부담하기에 무리가 없는 수준이어야 하기에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보증금을 최대 4,500만원 무이자 지원할 계획입니다. 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물량의 10~25%를 기부채납 방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같은 역세권 청년주택일지라도 민간임대와 공공임대는 임대료에서 최대 45%까지 차이가 나는데요. 공공임대는 행복주택으로, 민간임대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으로 공급돼, 임대료 측정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곳곳에서 공사중인 역세권 청년주택…입주는 언제쯤?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광진구 구의동 강변역 역세권에 위치한 청년주택으로, 74가구(공공임대 15가구, 민간임대 59가구)에 대한 입주자 모집 공고가 오는 6월 예정되어 있습니다. 입주 기준으로 봤을 때 역세권 청년주택 1호가 될 전망인데요.


반면 부족한 예산과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제동이 걸린 곳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6년 역세권 청년주택 1호와 2호 시범사업지로 선정됐던 한강로2가(1088세대)와 충정로3가(499세대)입니다. 이 두 곳은 예정대로라면 2017년 말부터 청년들에게 공급됐어야 하지만 2년이 흐른 지금도 막바지 공사에 한창입니다. 한강로2가의 경우 오는 2020년 상반기 준공될 예정입니다.

“이르면 내년 초 입주 예정이다. 일정이 예상보다 늦어졌지만 서울시에서 입주자 모집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입주가 더 늦춰질 수도 있다. 하지만 벌써부터 문의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청년들에게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임대주택사업이라 역세권 인근 대학생들이 특히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서대문구 충정로역세권 인근 공인중개업소 대표 K씨의 이야기입니다.

서울시 전폭적인 지원, 역세권 청년주택 행보 빨라질까

입주를 앞둔 사업지가 나오면서 서울시의 핵심사업으로 꼽히는 역세권 청년주택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울 주요 지하철역 인근에 공급돼 교통이 편리하며, 시세보다 낮은 가격이 장점입니다.


서울시가 전체물량의 10~25%를 공공임대 물량으로 확보하고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에게 주변 시세의 60~80%로 임대할 예정인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려는 서울시는 ‘2030 역세권 청년주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서울시 관계자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사업 인가가 완료된 역세권 청년주택은 30곳이고, 30곳이 사업인가를 진행 중입니다. 사업인가를 준비중인 곳도 21곳으로 총 31,960실 규모입니다. 올해 역세권 청년주택의 첫 입주가 예정된 만큼 앞으로 사업속도가 더욱 빨라질 예정인데요. 개정안 변경에 따른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지원 범위가 확대되고, 용적률 등 규제가 완화되면서 역세권 청년주택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